<----구글애드센스2020>

견갑골 운동 이상증은 Scapular dyskinesis견갑골운동이상증( 'dys'— 변형,'운동 '— 움직임)은 기능 장애가 있는 견갑골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총칭이며 정적자세에서의 견갑골 위치의 관찰 가능한 변화와 견갑흉부 관절의 운동 패턴변화로 정의된다.

쉽게 말해 견갑뼈가 가만히 있어도 이상하게 위치해있고 움직일떄도 정상과는 다르게 움직이는것이다.

발생의 기전에 대해 간략하게 요약하면 견갑골 운동 이상증은 아래의 3가지 문제로 발생한다.

1. 뼈의 위치변화 혹은 골절    2. 근육 기능의 변화    3. 구축 혹은 유연성의 부족 

 

오늘은 1번에 대해 기술하겠다.

아래의 복잡한 내용을 요약하자면 과도한 흉추후만 자세 혹은 경추 전만이 자세는 견갑골 운동 이상증의 원인 이라고 할수 있겠다. 또한 쇄골이 부러진 경험도 쇄골뼈의 모양에 영향을 미쳐 견갑골운동 이상증의 원인이 될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과 논문의 출처는 아래에 기재 했다.(학술적인것을 원하시는 분들은 읽어보시길.....)

 

 

흉추후만(thoratic kyphosis)

 

 

경추전만(cervical lordosis)

 

휴식자세에서 과도한 흉부 후만증과 증가된 경추 전만증은 운동 활동의 모든 단계에서 과도한 견갑골 전인 및 견봉 하강을 초래하여 견봉하공간 충돌을 증가시킬 수 있다.

Direct 3-dimensional measurement of scapular kinematics during dynamic movements in vivo.

Alterations in shoulder kinematics and associated muscle activity in people with symptoms of shoulder impingement.

 

쇄골 골절로 인해 적절한 견갑골 위치를 유지하는 버팀대가 짧아 지거나 각이질 수 있다.

또한 견봉쇄골 관절 손상, 불안정성, 관절염은 쇄골 버팀대 기능을 방해하고 내측 견갑골 경계에서 견봉 쇄골 관절까지 견갑골 회전의 즉각적인 중심의 정상적인 진행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견갑골 운동학을 변경할 수 있다

Normal and abnormal motion of the shoulder.

A biomechanical analysis of scapular rotation during arm abduction in the scapular plan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