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갑골 운동 이상증은 Scapular dyskinesis견갑골운동이상증( 'dys'— 변형,'운동 '— 움직임)은 기능 장애가 있는 견갑골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총칭이며 정적자세에서의 견갑골 위치의 관찰 가능한 변화와 견갑흉부 관절의 운동 패턴변화로 정의된다.
쉽게 말해 견갑뼈가 가만히 있어도 이상하게 위치해있고 움직일떄도 정상과는 다르게 움직이는것이다.
발생의 기전에 대해 간략하게 요약하면 견갑골 운동 이상증은 아래의 3가지 문제로 발생한다.
1. 뼈의 위치변화 혹은 골절 2. 근육 기능의 변화 3. 구축 혹은 유연성의 부족
위의 3가지 이유떄문에 어깨에서는
1. 견갑골의 전인과 후인조절의 상실, 2. 거상조절의 상실, 3. 운동사슬 기능의 상실 이렇게 3가지의 부작용이 나타난다.
오늘은 그중 3. 운동사슬 기능의 상실 대해 설명 하겠다.
견갑골 생체 역학에서 가장 중요한 이상 중 하나는 운동 사슬에서 연결 기능의 손상이다.
견갑골 운동이 손상 되면 하지와 몸통에서 발생하는 힘이 상지로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사진과 같이 각관절의 안정성이 좋아야하는 관절과 가동성이 좋아야하는관절이 있다. 그중 견갑상완관절은 가동성을 더필요로하고 그가동범위 내에서 조절이 용이 해야한다. 하지만 견갑과 상완 관절의 관계에서 제대로된 견갑흉부 관절의 안정성이 나오지않으면 몸의 근위부 로는 목, 허리 몸의 원위부로는 팔꿈치 손목에 제대로된 힘전달이 안될수 있다.
'견갑골운동 이상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갑골운동 이상증으로 인한 어깨 기능부전2 (0) | 2020.09.21 |
---|---|
견갑골운동 이상증으로 인한 어깨 기능부전 (0) | 2020.09.15 |
견갑골운동이상증 원인3 (0) | 2020.09.12 |
견갑골운동이상증 원인2 (0) | 2020.09.10 |
견갑골 운동 이상증의 원인 (0) | 2020.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