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이 시작되는 지점(origin)과 끝나는지점(insertion)을 아는것과 그 근육으로 인해 움직임(Action)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아는 것 은 아주 기본적으로 갖추어야할 지식입니다.
나아가서 그 근육이 신체에서 앞뒤 좌우 위아래로 어떤 영향을 줄수있을까 하고 생각 해보는 것은 근력의 트레이닝 움직임 트레이닝 그리고 기능적인 트레이닝시에 적재 적소에 운동동작을 적용할수 있는 생각을 할 수 있게하고
커뮤니티에 무수히 많이 떠돌고 있는 운동들을 자신만의 틀에 정리할수 있는 능력을 길러줍니다.
소흉근(pectoralis major)은 갈비뼈 3,4,5번 부터 견갑골의 견봉까지 달려있습니다.
견갑골의 하강 ,전인 , 하방회전, 틸트(기울임)에 기여하며, 경추8번 흉추1번 부터 나오는 medial pectoral nerve에 지배를 받고 있습니다.
반대쪽 대둔근과 운동사슬로 연결이 있어 달리기동작이 잘 안오는데 근막적으로 보거나 주동근 길항근적으로 봤는데도 이상이 없다면 한번 확인해볼필요가 있다.
소흉근(pectoralis major)은 상지심부전방선에 속합니다.
상지 심부전방선은 소흉근 - 상완이두근 - 요골의 골막 - 엄지까지 이어져있습니다.
근력 검사로 이 라인의 근기능을 확인해 볼수 있고 상지 심부 전방선으로 인해 상지 표면 전방선의 근육 억제가 일어날수도 있는점을 확인해 볼필요가 있습니다.
예를들어 몸의 보호기전으로 소흉근이 지속적인 수축을 할 경우 가까이 있는 대흉근의 근육 억제가 있을수 있습니다.
'기능해부학 + 근막경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거근(serratus anterior) (0) | 2020.09.17 |
---|---|
전면삼각근(anterior deltoid), 측면 삼각근(lateral deltoid), 후면 삼각근(posterior deltoid) (0) | 2020.09.10 |
대흉근 쇄골 부분(pectoralis major clavicle portion) (0) | 2020.09.10 |
대흉근 흉골부분(pectoralis major sternum portion) (0) | 2020.09.10 |
광배근(latissimus dorsi) (0) | 2020.09.10 |